티스토리 뷰
리플코인은 플랫폼과 통화입니다. 이말은 플랫폼을 빠르고 저렴한 트랜잭션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오픈 소스 프로토콜이라는 뜻입니다. 간단한 지불 목적으로 실용성이 없는 비트코인 과 달리 리플은 전 세계의 모든 국제 거래를 완전히 통제 할 것입니다. 꽤 야심 차 있지만 미래의 일은 아무도 모르는 것입니다.리플 플랫폼에는 자체 통화 XRP가 있지만 리플넷을 통해 플랫폼을 사용하여 모든 사람이 플랫폼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리플의 통화인 XRP는 리플 네트워크를 통한 값 전송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토큰입니다. XRP의 주된 목적은 다른 사람들을위한 중개자 입니다. XRP를 설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조커카드입니다. 카드게임에서 다른 카드가 될 수있는 카드인 조커카드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달러에서 유로화로 바꾸려는 수수료를 절감해줄수 있습니다. 참고로 Ripple의 거래 비용은 0.00001 달러입니다. 또한 리플은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과 달리 블록체인이 없습니다. 블록체인이없는 암호화폐는 꽤 이상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이없는 경우 어떻게 트랜잭션을 확인하고 모든 것이 정상인지 확인할수 있을지 의문도 들것입니다. 이에 대해 리플은 독자적인 특허 기술인 Ripple protocol consensus algorithm (RPCA)을 사용합니다. 이름에 '합의'라는 말은 모든 노드가 나머지 모든 노드와 일치하면 문제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상상해보십시오. 100 명이 넘는 의원들이있는 국회가 있으며, 여기서는 모두 결정을 내리는 데 동의해야합니다. 모두가 동의한다면 당신은 전쟁을 시작하고, 전쟁을 끝내고, 세금을 인상하고, 법안을 선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 중 하나 가 찬성하지 않으면 그들은는 그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낼 때까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위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첫번째로 낮은 수수료의 교환은 서로 직접 변환 할 수없는 많은 통화가 있기때문에 은행은 미화를 중재자로 사용해야합니다. 따라서 통화 A를 USD 및 USD를 통화 B로 변환하는 두 가지 수수료가 존재하는데 이 과정에서 리플은 조정자이지만 USD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두번째로 리플의 평균 거래 시간은 4 초입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1 시간 이상걸리고 일반 은행 시스템의 경우 며칠간을 걸려 교환을 이루어 진다는 점에서 리플의 강점이 드러납니다. 세번째로는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위해 자신의 통화를 발행 할 수 있습니다.
리플코인의 장단점을 알아봅시다.
-장점으로는
1.리플은 원래 하루 결제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으므로 비트코인보다 훨씬 강력합니다. 그 결과, 거래가 훨씬 더 빠르고 저렴 해졌습니다.
2.리플은 은행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식 조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다른 여러 암호화폐들만큼 여러 규제 점검의 대상이 아닙니다.
3.리플은 통일 된 최소한의 커미션으로 모든 통화 또는 귀중한 금 (금)과 교환 할 수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4.리플은 많은 은행의 신뢰를받는 공식 조직입니다. 이름없는 회사의 또 다른 블록체인 스타트 업이 아닙니다.
5.인플레이션이 없습니다. 모든 토큰은 처음에 채굴되어 이미 존재합니다.
6.은행이 트랜잭션 플랫폼으로 사용할수록 XRP의 가치는 높아집니다. 하루가 지나면 모든 은행들은 잉여 통화 거래를 처리하는 대신 통합 은행 통화로 사용하기로 결정합니다.
-단점으로는
1.고도로 중앙 집중화되어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전체 아이디어는 중앙 집중식 제어를 피하는 것입니다. 토큰이 이미 채워지기 때문에 리플개발자는 출시시기 및 출시시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기본적으로 은행에 투자하는 것과 같습니다.
2.리플렙스 가 동전의 61 %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독점권이 있습니다.
3.오픈 소스입니다. 매우 똑똑하지만 코드가 액세스 가능 해지면 많은 사람들이 해킹하려고 시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성공할 수도 있습니다.
'가상화폐 > 가상화폐 설명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스팀잇(steemit) 간단 설명 (0) | 2019.06.08 |
---|---|
[코인용어1] 퍼드,포모,베어마켓,불마켓,추격매수 (0) | 2019.06.07 |
15. 이오스(EOS)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 (0) | 2019.05.26 |
14. 이더리움(Ethereum)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19.05.19 |
13. 메인넷이란 무엇인가 ? (0) | 2019.05.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크레드
- decred
- 국산코인
- Pow
- 저스틴 썬
- 펀디엑스 코인
- 리브라 코인
- 포모
- 오미세고 신한
- 1세대 코인
- 작업증명
- bitcoin
- 코모도코인
- 온톨로지 네오
- 페이스북 코인
- 스마트계약
- 넴 코인
- Basic Attention Token
- 베이식어텐션 토큰
- 2세대 코인
- 추격매도
- 아이콘 특징
- 제드 멕케일럽
- 리스크코인
- Chainlink
- 찰스 호스킨스
- 라이트코인 장점
- 세타코인
- 아이콘 코인
- 3세대 코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